SQL이란?
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로,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쿼리 언어이다.
DB시스템의 비중이 관계형 DB가 가장 높아서, 대부분의 DBMS에서 SQL 구문을 사용할 수 있다.
사용자는 SQL Query를 사용하여 DB의 정보를 조작하거나 조회, 권한 관리가 가능하다.
크게 DDL, DCL , DML, DQL로 나뉜다.
Data Definition Language(DDL)
DDL은 DB나 테이블을 생성, 수정 하는 구문이다
- CREATE : DB 스키마 또는 테이블 생성
- DROP : 테이블 삭제
- ALTER : 열 변경, 추가, 삭제, 수정
...
Data Control Language(DCL)
DCL은 DB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구문이다.
- GRANT : 특정 사용자에게 권한 부여
- REVOKE : 특정 사용자에게서 권한 박탈
Data Manipulation Language(DML)
DML은 DB 테이블에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구문이다.
- INSERT : 데이터를 테이블에 삽입
- UPDATE : 테이블의 데이터 수정
- DELETE : 테이블의 데이터 삭제
....
Data Query Language(DQL)
DQL은 데이터를 조회하는 구문으로 SELECT 구문 자체를 말한다.
SELECT문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절들을 함께 소개한다.
- SELECT : 테이블 내의 데이터를 조회
- WHERE절 : 테이블 내 원하는 데이터 선택
- DISTINCT절 : 중복된 내용을 한번씩만 출력
- ORDER BY절 : 특정 컬럼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나열
(ASC : 오름차순(기본값), DESC : 내림차순)
'WEB >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SRF(Server Side Request Forgery) 공격 기법 (0) | 2025.05.26 |
---|---|
파일업로드 취약점(File Upload Vulnerability) (0) | 2025.05.19 |
CSRF 공격 기법 (1) | 2025.05.14 |
DB, DBMS 란? (0) | 2025.05.14 |
DB pool 이란? (0) | 2025.05.14 |